오늘은 밤을 지배하는 달에대한 이야기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달은 밤을 지배하는 빛이라고들 합니다.
인간이 세상에 살기위해 온 이래 경이의 대상이되었던 달. 달은 하늘의 어떤한 것과도 비교할없이 밤하늘을 밝히며, 마치 규칙적인 모습(shape)을 바꾸고 있는 것 같다. 이제 밝히겠지만, 진화론자들로서는 그 기원을 짐작조차 할 수 없는 이 달은 사실 지구상에서 살아가는 생명체 즉 사람과 동물,식물들에게 알맞도록 설계된 것이다.
*달의 기원은
달 이 언제 어떻게 생겨났는지에 대하여 과학자들의 각자 여러 가지 다른 설들이 있지만, 어떤 과학자도 달이 탄생할 때 거기에 있지 않았다
*달이 존재하는 목적
달 이 존재하는 목적을 알아보면 창세기에 나와 있다. 달의 주 목적은 밤을 환하게 밝히는 것이다. 달은 해가 지고 난 후에도 태양빛을 우리들에게 반사해 주고. 반사되는 빛의 양은 달의 표면적에 따라 달라지고 달이 엄청나게 크다는 것은 아주 다행한 일이다. 달의 직경은 지구 직경의 1/4 이 조금 넘는다고 합니다. 달은 태양계에서 존재하는 행성들의 다른 어떤 위성들보다 상대적으로 어마어마하게 크다. 결과적으로 달이 아주 작았다면 중력이 너무작아 둥근 공과 같은 형체를 유지할 수 없었을 것이다.
달 이 존재하는 또 다른 이유는 봄,여름,가을,겨울 사계절(seasons들을 뚜렷하게 나타내기 위함이다. 달은 지구 궤도를 돌아가는데 한달에 한 번을 돌며 29.5일을 아주 규칙적인 모양을 나타낸다. 이런 규칙적인 모양을 이용하여 사람들은 달력을 만들 수 있었고 계절에 맞추어 농사를 지으며 추수를 매년 제일 좋은 시기에 농작물을 경작할수도 있다.
여기서 아주 중요한 사실을 하나 알수있는데 항상 달은 똑같은 면이 지구를 향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만약에 시간이 흐름에 따라 다른 면이 보인다면, 달의 밝기도 지구 쪽으로 향한 표면상태에 따라 달라지게 될 것이다.
달의 크기와 지구와의 근접성으로 인해 지구의 조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조석이란:태양과 달 그리고 지구 사이에서 만유인력등에 의해서 규칙적으로 일어나는 해수면의상승과 하강 즉 만조 간조의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태양조차도 달의 영향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다른 천체의 영향은 사실상 거의 영행을 미치치 못하는 수준이다. 태양과 달이 일직선상에 올 때, 그 합력으로 인하여 강한 사리(spring tides, 대조)가 나타난다.
사리와 조금은 지구가 공전을 하기때문에 발생되는 현상이고 달과 지구가 태양이 일직선상인 삭과 망일때 태양과 달이 중력값이 커지게 되어 지구의 바닷물을 많이 당기는 사리가 생기고달이 상현이나 하현일때에는 중력값이 작아져서 바닷물을 조금만 당기는 현상이 생기게 되어 이를 조금이라고 한다. 즉 태양과 달이 90도 각도에 위치할 때에는 그들의 인력이 서로 상쇄되어 조금(neap tides, 소조)를 나타낸다. 달의 공전하는 주시는 약 한달 30일 이므로 조금에서 조금까지는 15일, 사리에서 사리까지 15일이 됩니다.
지구는 중력에 의해서 달을 궤도상에 붙들어 두고 있는데, 그 인장력의 대략적인 크기는 직경 850 km의 강한케이블에 해당하는 정도의 크기이며. 달도 지구에상대적으로 똑같은 크기의 인력으로 작용한다. 달이 작용하는 인력은 달에서 제일 가까운 지구표면에 가장 크게 작용하여 그 일대의 해수면을 부풀게 하는데 이를 만조(high tide)라고 한다. 달에서 가장 먼 부분은 가장 적은 힘을 받아, 달의 반대쪽으로 (지구의 윈심력으로) 해수가 모이게 되어 지구의 반대쪽에서는 하나의 만조가 만들어지게 된다. 이 만조지역 중간정도에서는 해수면이 내려가게되어 간조가 된다. 달은 자전을하고 있는 지구를 공전하기 때문이다, 간조와 만조는 주기적으로 발생을 하는데 매 25 시간마다 2회의 만조와 2회의 간조가 주기적으로 발생게된다. 이런 조석은 지구상에서 살고있는 생명체들에게는 매우 필수적이다. 조석은 바다 해안선을 청결하게 하고, 바닷물의 해류가 계속 순환하게 하여 바다가 정체되고 썩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조석은 인류에게 배가 다닐 수 있는 수로를 만들어주고, 하수를 희석시키는 일을하고.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하느 곳에서는 조석의 막대한 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하기도 한다.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별의 탄생과정과 별의일생 (0) | 2020.12.09 |
---|---|
우리가 살고있는 지구와 수성의 이야기 (0) | 2020.12.08 |
은하계 은하의종류 나선은하,타원은하,불규칙은하에 대하여 (0) | 2020.12.07 |
요한네스 케플러 천문학자 이야기 (0) | 2020.12.07 |
우주의 천문학 태양천문학과 행성천문학에 대한 이야기 (0) | 2020.12.05 |
댓글